센터소개
행복한 미래 새로운 중랑을 향한 미래세대
교육의 웅대한 비상
센터소개
행복한 미래 새로운 중랑을 향한 미래세대
교육의 웅대한 비상
자료실
중랑구 방정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행사와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사진입니다.
세종대 창의인재 면접 문항 - 컴퓨터공학과, 정보보호학과, 소프트웨어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지능기전공학부
작성일 2019-08-19
조회499
2019학년도 세종대 학생부종합 창의인재전형의 컴퓨터공학과, 정보보호학과, 소프트웨어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지능기전공학부의 면접 기출문항입니다.
이 문제는 학생들이 모자를 써보는 절차를 단순 직선적으로 접근하는지 또는 모자나 학생을 (또는 모자와 학생 전부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접근하는지의 여부, 그리고 이와 연계하여 학생들이 모자를 써보고 얻은 정보, 즉, ”모자가 크다“, ”작다“, 또는 ”맞다“ 등의 정보를 다음 단계에서 활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모자 쓰는 총 횟수를 줄일 가능성이 달라진다. 여러 방안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가능하다.
첫 번째 방법은 이전에 썼던 모자에 대한 정보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먼저, 모든 학생 이 동시에 모자 하나를 선택하여 써본다. 모자가 맞으면, 가지고 가고, 모자가 맞지 않는 학생은 자신이 썼던 모자를 내려놓고 다시 모자 하나를 선택하여 써본다. 이 작업을 모든 학생들의 모자 선택이 완료 될 때까지 반복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각 학생은 자신이 썼던 모자를 다시 써보게 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어, 모자를 써보는 총 횟수가 상당히 커질 수 있다. 자신이 써봤던 모자를 다시 써보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모든 모자를 일렬로 줄을 세우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모든 학생들은 동시에 줄에 세워진 모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써본다. 모자가 맞는 학생들은 모자를 가지고 가고, 나머지 학생들은 자신이 썼던 모자를 그 자리에 내려놓고, 자신이 썼던 모자의 다음 모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해 동시에 모자를 써 본다. 단, 줄의 가장 끝에 있는 모자를 썼던 학생은 줄의 첫 번째 모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자신에게 맞는 모자를 찾을 때까지 이동하며 모자를 쓰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 경우, 자신이 한 번 썼던 모자를 다시 쓰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학생들이 모자를 쓰는 총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학생 한명이 모든 모자를 써보고 이때 얻은 정보를 이용해 모자들을 크기에 따라 분류한 후 나머지 학생들이 분류된 그룹별 모자를 하나만 써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두 개의 세부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학생 한 명이 모든 모자를 써보고 모자를 분류한다. 만약, 모자를 분류하게 된 첫 번째 학생의 머리 크기가 Medium이라면, 모자는 큰 모자(L), 작은 모자(S), 맞는 모자(M)의 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모자를 분류하는 첫 번째 학생의 머리 크기가 Medium이 아니라면, 모자는
세 그룹이 아니라, 맞는 모자(L)와 작은 모자(M/S) 또는 맞는 모자(S)와 큰 모자(L/M)의 두 그룹으로 분류 된다. 이 경우, 다음 학생이 먼저 맞는 모자 그룹의 모자를 써본다. 이 모자가 맞으면, 모자를 가지고 가고, 모자가 맞지 않으면, 이 학생이 맞지 않는 모자 그룹의 모든 모자들을 써 보고, 모자를 2차 분류하는 작업을 한다. 만약, 첫 번째 분류가 맞는 모자(L)와 작은 모자(M/S)의 두 그룹이고, 두 번째 분류가 맞는 모자(S)와 큰 모자(M)라면, 첫 번째 분류의 맞는 모자가 Large 크기의 모자이고, 두 번째 분류의 큰 모자는 Medium 크기, 두 번째 분류의 맞는 모자는 Small 크기의 모자가 된다. 같은 방식으로 다른 모든 경우, 모자들을 크기별로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만약, 모자를 분류하는 첫 번째 학생의 머리 크기가 Medium이라면, 모든 모자를 한 번씩 써보면, 모자는 세 그룹으로 분류가 된다. 그러나 두 번째 분류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모자를 써보는 횟수는 증가하게 된다. 이 때, 두 번째 모자 분류를 하는 학생이 첫 번째 분류 된 모자 중 첫 번째 학생에게 맞지 않는 모자만 분류하게 되면, 모자를 쓰는 횟수를 조금 줄일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나머지 학생들이 그룹별로 모자 하나씩을 써보고 자신에게 맞는 모자를 찾아가면 된다. 학생들이 세 그룹의 모자를 순서 없이 써보는 경우에는 최대 2번 모자를 써봐야 자신에게 맞는 모자를 찾을 수 있지만, Medium 크기로 분류된 그룹 M의 모자를 먼저 써보게 하면, 이 모자가 큰 경우에, 그룹 S의 모자를, 작은 경우에는 그룹L의 모자를 가져가면 되므로, 1번 만 모자를 써 보면, 자신에게 맞는 모자를 찾을 수 있다. 만약, 그룹 M의 모자를 학생들이 전부 가져간 경우에는, 아무 그룹의 모자나 한 번 써보고, 맞으면 가져가고, 맞지 않으면 다른 그룹의 모자를 가져가면 되므로 여전히 모자를 한 번만 써보면, 자신에게 맞는 모자를 가져갈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은 모자 하나를 모든 학생들이 써보고 이때 얻은 정보를 이용해 학생들을 머리 크기에 따라 분류 한 후 나머지 모자는 분류된 그룹별로 최대 한 학생만 써보는 방법이다. 이 방법도 두 개의 세부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모자 한 개를 순서대로 써본다. 만약, 학생들이 써 본 첫 번째 모자의 크기가 Medium이면, 이 모자가 맞는 학생(M)과, 모자가 큰 학생(S), 모자가 작은 학생(L)의 세 그룹으로 학생들을 나눌 수 있다. 만약, 첫 번째 모자의 크기가 Medium이 아니라면, 학생들은 세 그룹이 아니라, 모자가 맞는 학생(L)과 모자가 큰 학생(M/S) 또는 모자가 맞는 학생(S)과 모자가 작은 학생(L/M)의 두 그룹으로 분류 된다. 이 경우, 다음 모자는 첫 번째 모자가 맞았던 그룹의 학생이 써본다. 이 모자가 맞으면, 모자를 가지고 가고, 모자가 맞지 않으면, 첫 번째 모자가 맞지않았던 그룹의 모든 학생들이 이 모자를 써보고, 학생들을 다시 분류한다. 만약, 첫 번째 분류가 모자가 맞는 학생(L)과 모자가 작은 학생(M/S)의 두 그룹이고, 두 번째 분류가 모자가 맞는 학생(S)과 모자가 큰 학생(M)이라면, 첫 번째 분류의 모자가 맞는 학생들은 머리 크기가 Large이고, 두 번째 분류의 모자가 큰 학생들의 머리 크기는 Medium이고, 두 번째 분류의 모자가 맞는 학생들은 머리 크기가 Small이라고 보면 된다. 같은 방식으로 모든 경우, 학생들의 머리 크기에 따라 세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만약, 학생을 분류하는데 사용된 첫 번째 모자가 Medium 크기라면, 모든 학생들이 한 번씩 써보면, 학생들은 세 그룹으로 분류가 된다. 그러나 두 번째 분류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모자를 써보는 횟수는 증가하게 된다. 이 때, 두 번째 학생 분류에 사용되는 모자는 첫 번째 분류된 학생들 중 첫 번째 모자가 맞지 않았던 학생 만 모자를 써보게 하면 모자 쓰는 횟수를 조금 줄일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그룹 M의 학생 중 한명이 다음 모자를 써보고, 맞으면 가지고 간다. 모자가 크면, 그룹 L의 학생 한 명에게 모자를 전달하고, 모자가 작으면, 그룹 S의 학생 한 명에게 모자를 전달한다. 그룹 M의 학생들이 자신에게 맞는 모자를 찾아내서 모두 떠나게 되면, 그룹 L의 학생 중 한명이 모자를 써 보고, 맞지 않으면, 상대 그룹의 학생에게 모자를 전달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모든 모자를 한 번씩만 써보면 모두 자신에게 맞는 모자를 가져갈 수 있다.
이 외에도 모든 학생들이 동시에 모자를 하나씩 써보고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분류하고, 동시에 이 때 썼던 모자를 분류하여, 두 번째 단계에서 맞는 모자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집단과 모자를 교환하여 써보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제시 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 작품들을 재배치하기 위해서 고려하여야 하는 정보는 “작가명”과 “무게”이다.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기 순위가 높은 작가의 순서대로 작품들을 그룹화하여 전시하여 야 하므로 작가별 그룹화 순서는 “나수영-송준일-박상희-이현주-김동수”와 같이 되어야 한다. 동일한 작가 그룹 내에서는 작품을 무게 순서대로 배치하여야 하며 이 때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저울의 사용 횟수가 적어야 한다.
첫 번째 방법은 작품들을 무게 순으로 재배치 한 후, 인기도 순으로 다시 배치하는 두 개의 세부단계를 가지는 방법이다.
먼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작품들을 무게 순으로 배치한다.
첫 번째 작품의 무게를 다른 모든 작품들과 비교하여, 이 작품보다 무게가 무거운 작품의 수를 센다. 만약, 무게가 무거운 작품이 N개이면, 이 작품은 전체 작품 중 (N+1)번째로 무거운 작품이므로, 이 작품과 (N+1)번째 작품의 위치를 바꾼다. 다음, 새롭게 첫 번째 위치로 온 작품이 몇 번째로 무거운 작품인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찾아 위치를 바꾸는 작업을 반복한다. 첫 번째 위치에 가장 무거운 작품이 놓이게 되면, 다음은 두 번째 위치의 작품에 대해 무게 비교를 진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품들을 재배치하는 경우, 모든 작품은 299개의 다른 작품과 무게 비교를 하여야 하므로, 최대300*299=89700번의 천칭저울 사용이 필요하다. 단, 이 계산결과는 자기위치가 정해진 작품들을 기억하고 있어, 같은 작품의 위치 선정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얻어진 결과이다.
다음 단계는 이렇게 배치된 작품들을 인기도 순으로 재배치하는 단계이다. 가장 무게가 무거운 작품부터 가장 가벼운 작품까지 훑어가며, 인기도 1순위 작가의 작품인지 판단한다. 인기도 1순위 작가의 첫 번째 작품은 1번 위치에, 두 번째 작품은 2번 위치에 배치시킨다. 인기도 1순위 작가의 작품 45개가 전시공간의 가장 앞부분 1번부터 45번까지 위치에 배치가 되면, 같은 방식으로 인기도 2순위 작가의 작품들을 46번 위치부터 배치한다. 이때 중요한 점은 인기도에 따른 작품 재배치 과정에서 무게 순으로 배치된 순서가 변경되면 안 되므로, 작품 이동은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A-B-C-D의 무게 순으로 배치된 작품 중 D를 가장 첫 위치로 옮기려면, D를 A와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D와 C의 위치를 바꾸고(A-B-D-C), D와 B의 위치를 바꾼 후 (A-D-B-C), D와 A의 위치를 바꾸면, D-A-B-C로 배치가 되어, D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의 무게 순서가 지켜지게 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위치이동의 횟수가 매우 많아진다. 인기도가 가장 높은 작가의 작품이 무게가 가벼워 첫 번째 단계에서 전시공간의 가장 뒷부분으로 배치된 경우, 이 작가의 작품 하나를 앞부분으로 이동 하는데, 최소 (300-45)회의 자리 교체가 필요하다.
두 번째 방법은 작품들을 인기도 순으로 먼저 재배치 한 후, 같은 작가의 작품 내에서 무게 순으로 다시 배치하는 방법이다.
인기도 순으로 배치하는 첫 번째 단계는 전시공간의 첫 번째 작품부터 마지막 작품까지 훑어가며, 인기도 1순위 작가의 작품인지 판단하고, 인기도 1순위 작가의 첫번째 작품은 1번 위치의 작품과 두 번째 작품은 2번 위치의 작품과 위치를 바꾼다. 인기도 1순위 작가의 작품 45개가 전시공간의 가장 앞부분 1번부터 45번까지 위치에 배치가 되면, 같은 방식으로 인기도 2순위 작가의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