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개
행복한 미래 새로운 중랑을 향한 미래세대
교육의 웅대한 비상
센터소개
행복한 미래 새로운 중랑을 향한 미래세대
교육의 웅대한 비상
자료실
중랑구 방정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행사와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사진입니다.
고려대 2020학년도 학교추천II 자연 면접문항-오전
작성일 2020-04-16
조회491
제시문 및 문항
(가) 세포막은 세포의 내부와 외부를 나누는 경계로 인지질 2중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지질은 인산으로 된 머리 부분과 지방산으로 된 꼬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지질 분자 내에서 인산으로 이루어진 머리 부분은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을 띠며, 지방산으로 된 꼬리 부분은 물을 싫어하는 소수성을 띤다. 세포막의 인지질 2중층은 유동적이며, 단백질이 일부분 또는 전체가 묻혀 있는 구조이다. 특히, 세포막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효소 반응, 물질 출입을 위한 통로 형성, 막을 통한 물질의 운반, 다양한 감각의 수용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나) 태양은 우리에게 필요한 빛과 열에너지를 제공하는 반면, 높은 에너지의 미립자와 방사선 등으로 이루어진 우주선을 쏟아 내고 있다. 만약 이 우주선이 그대로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는 순식간에 뜨거운 열과 방사능으로 휩싸여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죽음의 행성이 되고 말 것이다. 지구의 자기장은 이러한 우주선이 지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 주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다) 전기적 특성이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정도인 물질을 반도체라고 부른다. 순수한 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해 반도체의 전자나 양공의 수를 조절하는 것을 도핑이라고 하고, 이때 만들어진 반도체를 불순물 반도체라고 한다. 대표적인 순수 반도체인 실리콘에 갈륨을 도핑하면 p형 반도체가 되고 비소를 도핑하면 n형 반도체가 된다. 불순물 반도체인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구조를 p-n 접합이라고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반도체 소자를 p-n 접합 다이오드라고 한다.
(라) 우리는 생활 속에서 전자기파를 매우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가장 친근한 전자기파는 휴대 전화나 컴퓨터 무선 랜에서 사용되는 전파이다. 이러한 전자기파는 파장의 길이에 따라 구별한다. 흔히 말하는 가시광선은 파장이 380-770 nm인 전자기파이고 그보다 파장이 더 짧은 전자기파로는 X-선이 있고, 파장이 더 긴 전자기파로는 마이크로파가 있다. X-선은 의학 분야, 마이크로파는 전자레인지에 사용된다.
(마) 살아 있는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나무 조직 속의 탄소 중 방사선 동위 원소 146C 는 대기 중의 비율과 같다. 하지만 식물이나 동물이 죽어서 광합성이나 신진 대사를 멈추게 되면 그 안에 남아 있던 146C 는 계속 붕괴하기 때문에 126C 와 146C 의 비율이 달라진다. 따라서 대기와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고고학적 유물이 남아 있는 126C 와 146C 의 비율 차이를 알면 유물이나 미라의 연대를 알 수 있다.
1. 제시문 (가)∼(라)를 ‘선택적 투과’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시오.
2. ‘문제 1’에서 답한 내용과 제시문 (마)는 어떻게 비교되는 지를 설명하시오.
3. ‘문제 1’에서의 공통된 개념과 관련된 예를 사회현상에서 찾아보시오
문항해설
· 1번 문항은 제시문 (가)~(라)를 ‘선택적 투과’라는 개념을 이용해 설명하는 문제임
· 2번 문항은 1번 문항에서 답한 내용과 제시문 (마)와의 논리적인 비교를 통해 차이점을 설명하는 문제임
· 3번 문항은 ‘선택적 투과’라는 개념이 사회현상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이에 해당하는 예시 및 합리적인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문제임
출제의도
· 주어진 개념을 이용하여 제시문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 주어진 개념과 제시문을 논리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는지를 평가함
· 문항이 의도한 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주장에 대한 근거를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채점기준
· 1번 문항 : ‘선택적 투과’의 개념을 이용하여 제시문 (가)~(라)를 각각 설명하면 좋은 점수를 부여함
· 2번 문항 : 주어진 제시문 (마)를 ‘선택적 투과’라는 개념과 논리적으로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투과도의 변화’를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설명하면 좋은 점수를 부여함
· 3번 문항 : 문항이 의도한 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주장에 대한 근거를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고, 그 예를 논리적으로 제시하면 높은 점수를 부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