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개

행복한 미래 새로운 중랑을 향한 미래세대
교육의 웅대한 비상

자료실

중랑구 방정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행사와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사진입니다.

한국사/사회탐구 출제경향 - 5월 21일 시행 고3 학력평가

  • 작성일 2020-05-25

  • 조회246


2020년 5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한국사 영역과 사회탐구 영역의 과목들은 전반적으로 볼 때 2020 수능보다 어렵게 출제되었다. 최근의 수능 경향을 반영하여 교과의 핵심 개념이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묻는 개념 확인형 문제와 자료 분석형 문제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일부 문제는 새로운 자료를 활용하거나 기출 유형을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함으로써 참신한 문제를 선보이려고 하였다. 정형화된 수능 문제들과 기출 유형을 재구성한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어 크게 낯선 문제는 없었지만, 개념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답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들과 자료 분석이 까다로운 문제들은 상당히 어려웠다.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를 구성하였고, 일상생활 및 시사적인 내용을 다룬 문제도 일부 출제되었다.

한국사

• 핵심 개념의 이해를 묻는 문제들이 많고, 답지 길이도 짧아 기본 개념 학습에 충실했던 학생들이라면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부정형 문제와 합답형 문제가 없었고 전근대에서 10문제, 근현대에서 10문제 출제되었다.

• 청동기 시대, 백제의 문화, 조선 후기의 신분 질서 변동, 조선 후기의 경제 상황,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고려의 문화, 임진왜란의 영향, 갑신정변, 공민왕의 정책, 대한 제국의 정책, 신미양요의 배경, 조선 성종의 업적, 발해, 을사늑약, 신간회의 활동, 6․25 전쟁, 3․1 운동의 영향, 김대중 정부의 통일 노력 등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특이 문항 분석

    - 5번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고르는 문제로, 해당 사건에 대한 학습이 부족하다면 틀리기 쉬운 고난도 문제이다.

    -12번 : 조선 성종의 업적에 대해 묻는 문제로, 자료를 통해 성종임을 파악하지 못했다면 풀기 어려운 고난도 문제이다.

생활과 윤리

• 핵심 개념 및 원리를 확인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된 가운데, 문제의 유형도 기존에 많이 다루었던 형태의 문제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출제하였다. 학습에 충실했던 학생이라면 크게 어렵지는 않았을 것이다.

• 메타 윤리학과 실천 윤리학, 해외 원조에 대한 롤스와 싱어의 입장, 예술에 대한 입장, 도가와 유교의 사상, 다문화에 대한 입장, 시민 불복종에 대한 롤스의 입장, 뉴미디어 시대의 매체 윤리, 형벌에 대한 칸트와 베카리아의 입장, 분배 정의에 대한 여러 입장, 음식 윤리에 대한 입장, 니부어의 사회 윤리, 담론 윤리 등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특이 문항 분석

    -10번 : 자연을 바라보는 싱어, 테일러, 레건의 입장을 비교하는 문제로, 서로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이 맞는지를 꼼꼼히 따져야 하는 고난도 문제이다.

    -18번 : <문제 상황>을 통해 동물 학대에 대한 칸트의 입장을 파악하는 문제로, 제시된 사상가가 칸트임을 파악하지 못했다면 틀리기 쉬운 고난도 문제이다.

윤리와 사상

• 동․서양의 여러 사상가의 다양한 윤리적 관점을 다룬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고, 핵심 개념의 이해를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다. 핵심 교과 내용을 잘 정리한 학생들이라도 어려웠을 것이다.

• 석가모니, 스피노자와 키르케고르, 맹자와 순자,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 왕수인과 주희, 이황과 이이, 정약용, 듀이, 노자, 홉스와 루소, 소크라테스와 에피쿠로스, 위정척사 사상과 증산교 사상, 공자, 마르크스의 공산 사회, 묵자, 하이에크와 케인스,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 베이컨과 데카르트 등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특이 문항 분석

    - 6번 : 이황과 이이의 입장을 묻는 문제로, 두 사상가에 대한 학습이 부족하다면 풀기 어려운 고난도 문제이다.

    -18번 :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사상을 비교하는 문제로, 각 사상가의 입장에 대한 학습이 부족하다면 틀리기 쉬운 고난도 문제이다.

한국지리

• 지역 특성을 비교하거나 자료 분석을 통해 해당 지역을 찾는 문제들이 출제되었고, 전체적으로는 개념 확인형 문제와 자료 분석형 문제의 출제 비중이 높았다. 자료 분석과 답지 구성이 크게 복잡하지 않아, 교과의 핵심 개념을 잘 정리하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크게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 택리지, 기후 변화의 영향, 소매 업태별 특징, 기온의 지역별 특징, 주요 하천 지형, 도시 재개발에 따른 주민 생활의 변화, 영남 지역의 공업 특징, 카르스트 지형, 발전 양식, 지역별 인구 특성, 주요 해안 지형, 대도시권의 특징, 강원 지방의 관광 자원, 독도, 북한의 개방 지역 등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특이 문항 분석

    - 13번 : 해안 지형에 대해 묻는 문제로, 각 해안 지형의 형성 원인, 특성 등을 잘 학습하지 못했다면 틀리기 쉬운 고난도 문제이다.

    - 18번 : 충청 지방 여러 지역의 특징을 묻는 문제로, 각 지역의 인문․자연환경 특성을 미리 알고 있지 않다면 틀리기 쉬운 고난도 문제이다.

세계지리

• 핵심 개념을 지역을 통해 확인하는 문제와 자료 분석형 문제의 출제 비중이 높았다. 교과의 주요 개념을 잘 정리하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크게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 이슬람교와 힌두교, 건조 기후 지역의 주민 생활, 해안 지형, 세계의 기후, 세계화와 지역화 전략, 화석 에너지, 경제 블록, 유럽과 북부 아메리카의 갈등 지역, 세계의 인구 분포, 세계의 대지형, 세계 주요 식량 작물, 세계 도시 체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자원 개발 등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특이 문항 분석

    - 16번 : 냉대 기후 지역과 툰드라 기후 지역의 기후 그래프를 고르는 문제로, 두 기후 지역의 기후 특성을 파악하고 있지 않다면 틀리기 쉬운 고난도 문제이다.

    - 20번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자원 개발에 대해 묻는 문제로, 자료를 통해 콩고 민주 공화국과 보츠와나임을 알지 못했다면 답을 찾기 어려웠을 것이다.

동아시아사

• 동아시아의 시기별 핵심 주제들을 다룬 문제들이 고르게 출제되었다. 특정 시기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 상황을 묻는 문제들이 일부 출제되어 비교적 어려웠을 것이다.

• 동아시아의 신석기 문화, 일본의 율령 체제, 흉노, 7세기 동아시아 인구 이동, 금, 당 왕조, 동아시아의 은 유통, 엔닌의 활동, 성리학의 영향, 난징 조약, 병자호란의 영향, 시모노세키 조약, 6․25 전쟁, 태평천국 운동, 한국광복군 활동, 대약진 운동 등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특이 문항 분석

    - 12번 : 제1차 국․공 합작 시기를 연표에서 고르는 문제로, 해당 사건을 전후로 한 주요 사건들을 함께 학습하지 못했다면 답을 찾기 어려운 고난도 문제이다.

    - 14번 : 에도 막부 시기 동아시아 각국의 경제 상황을 묻는 문제로, 동 시대에 해당하는 국가들에 대한 학습이 부족하다면 틀리기 쉬운 고난도 문제이다.

세계사

• 핵심 개념에 대해 묻는 문제와 기출 유형의 문제들이 주로 출제되었으며, 자료가 생소하지 않고 답지 길이도 비교적 짧았다. 그러나 학습해야 할 내용이 많아 비교적 어렵게 느꼈을 것이다.

• 메소포타미아 문명, 카롤루스 대제, 무굴 제국의 문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영향, 한 무제의 정책, 비잔티움 제국, 헤이안 시대, 몽골 제국, 이집트, 위진 남북조 시대, 송의 경제 상황, 루이 14세의 정책, 오스만 제국, 미국 혁명의 전개 과정, 차티스트 운동, 쑨원의 활동, 냉전 체제 등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특이 문항 분석

이전

목록

다음

02.2094.1885

평일 09:00 ~ 22:00
주말(토,일) 10:00~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