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개

행복한 미래 새로운 중랑을 향한 미래세대
교육의 웅대한 비상

자료실

중랑구 방정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행사와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사진입니다.

[수시모집] 연세대 2020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 작성일 2019-06-17

  • 조회578

학생부종합전형의 주요 특징 및 지원 전략

- 연세대학교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서류평가와 면접평가를 통해 공교육에서 성장한 인재를 선발하고 있음

- 학생부종합전형의 기본 취지에 맞게 학교활동의 중심인 교과활동·비교과활동 충실성을 평가함

- 학교활동 충실성이란 교과활동이나 비교과활동 중 어느 한 쪽 영역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함

- 학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업역량과 자기주도성을 갖춘 학생에게 유리한 전형임

- 학생부종합전형 면접형은 2020학년도부터 1단계 평가에서 학교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를 평가(교과영역 정량평가, 비교과영역 정성평가)하고, 2단계 평가에서 1단계 평가 점수 40%, 면접 60% 반영함

- 학생부종합전형 활동우수형은 1단계 평가에서 서류(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를 종합·정성평가하고, 2020학년도부터 2단계 평가에서 1단계 평가 점수 60%, 면접 40% 반영함

- 수험생의 부담완화를 위해 수시모집 모든 전형에서 최저학력기준을 폐지함

학생부종합전형의 주요 전형요소

인재상 : 배움과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

학생부종합전형은 서류평가와 면접평가를 통해 선발하는 단계별 전형으로 1단계 서류평가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평가를 실시하여 최종 합격자를 선발하고 있음

1단계 서류평가 :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와 대학의 사회적 책무 이행을 위해 학교생활기록부(교과 및 비교과), 자기소개서, 추천서를 바탕으로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

2단계 면접평가 : 고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교양인으로서의 자질을 확인하기 위한 면접으로서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주도 활동역량 등을 평가하며, 필요 시 서류평가에서 파악한 특징적인 내용의 확인을 병행할 수 있음

서류평가 방법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공적합성은 대학 입학 후 해당 전공을 수학할 때 필요한 기초 소양과 자질을 의미하며 미래의 잠재력에 초점을 두고 평가함

- 고등학교 과정은 고등교육을 받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고 경험하는 것이 중요함. 따라서 전공적합성을 너무 미시적인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보다 거시적인 관점을 갖는 것이 중요함

- 인문·사회·자연 등 계열적합성 관점을 적용하여 전공적합성을 평가함

- 연세대학교는 종합대학으로 60여개가 넘는 전공이 있어 고교 교육 수준에서 모든 전공 관련 활동을 미리 체험하고 지원할 수는 없으며, 지원자의 교육환경의 차이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의 범위와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일괄적으로 평가할 수 없음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인성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필요한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을 의미함.

- 평가항목은 협업능력, 나눔과 배려, 소통능력, 도덕성, 성실성 등으로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와 면접평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대학의 인성평가 도입은 인재선발의 기준을 ‘알고 있는 지식의 양’보다는 실행할 수 있는 실제능력으로서의 ‘역량중심’평가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줌.

서류평가요소

학업역량

학교생활기록부

학업성취도, 학업태도와 학업의지, 탐구활동

자기소개서

1번, 2번 항목

교사추천서

1번, 3번 항목

학교소개 자료

교육과정, 교내시상현황, 프로그램 활동현황

전공적합성

학교생활기록부

전공 관련 교과목 이수 및 성취도, 전공에 대한 관심과 이해,

전공 관련 활동과 경험

자기소개서

1번, 2번, 4번 항목

교사추천서

1번, 2번, 3번 항목

인성

학교생활기록부

협업능력, 나눔과 배려, 소통능력, 도덕성, 성실성

자기소개서

2번, 3번 항목

교사추천서

2번, 3번 항목

이전

목록

다음

02.2094.1885

평일 09:00 ~ 22:00
주말(토,일) 10:00~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