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개

행복한 미래 새로운 중랑을 향한 미래세대
교육의 웅대한 비상

자료실

중랑구 방정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행사와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사진입니다.

세종대 창의인재 면접 문항 -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 작성일 2019-08-19

  • 조회520


2019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창의인재전형의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면접 기출 문항입니다.

문항1 : 문화를 이해하는 태도

한국관광공사의 통계에 따르면, 2017년 동안 해외를 방문한 우리 국민의 수는 26,496,447명이고, 한국을 방문한 해외관광객의 수는 13,335,758명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해외를 방문하는 횟수가 빈번해지고, 국내에서도 외국인을 접할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은 자기에게 익숙하지 않은 다른 사회나 집단의 문화를 접하게 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한 국제화 시대에 자문화나 타문화를 바라보는 태도에 문제가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들고, 문화를 어떤 태도로 바라보아야 할 지 자신의 생각을 말해보시오.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각자 제시하고, 이를 3가지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스스로 바람직한 태도를 이끌어내는지 여부를 파악한다.

1. 자문화중심적 태도로 문화를 바라보는 사례:

자신의 문화만을 옮은 것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다른 문화를 평가하는 자문화중심적 태도로 타문화를 바라보고, 다른 문화를 배척하면, 이에 대한 편견과 갈등을 초래하고 자문화의 발전도 더디게 된다. 이런 경우 문화 간에 우월하거나 열등한 문화는 없으며, 한문화에 대한 평가는 그 문화의 기준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고 문화적 상대주의적 태도를 지녀야 한다. 문화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서 해당문화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인권을 침해하거나 인간에게 고통을 주는 관습이나 제도까지 인정하고 존중하는 극단적 문화적 상대주의는 지양해야 한다.

2. 문화사대주의적 태도로 문화를 바라보는 사례:

자신이 속한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열등하다고 생각하고 다른 문화를 추종하는 문화적 사대주의적 태도를 지니면 무조건적으로 특정 국가의 문화나

상품 등을 선호하게 된다. 이 경우 다른 문화에 대한 편협한 이해를 초래하고 주체성 상실과 자국문화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이런 경우 문화 간에 우월하거나 열등한 문화는 없으며, 한문화에 대한 평가는 그 문화의 기준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고 문화적 상대주의적 태도를 지녀야 한다. 문화

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서 해당문화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인권을 침해하거나 인간에게 고통을 주는 관습이나 제도까지 인정하고 존중하는 극단적 문화적 상대주의는 지양해야 한다.


문항2 : 국제 관계, 국제 사회의 행위 주체

우리나라는 2015년 일본과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합의를 하고,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ㆍ비가역적으로 해결됐음을 선포했다. 그러나 2017년 새 정부 들어 이 합의에 대해 우리나라 정부는 위안부 피해 당사자와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재론의 여지가 있다는 입장을 보여왔고 최근에는 일본의 보상금으로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의 해산을 결정했다. 일본은 이에 대해 국가간의 합의를 지켜야 한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 변화에는 소녀상 건립이나 수요집회와 같은 활동을 통해 국내외 여론을 형성한 시민단체가 큰 영향을 끼쳤다.

이와 같이 비정부기구(NGO)가 정부에 영향을 끼쳐서 국가간의 합의를 번복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본인의 생각을 설명해 보시오.

제시문의 내용은 국제관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행위의 주체인 국가의 역할과 그 한계 및 비정부기구의 역할에 대한 사고 수준과 논리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다.

1. 정부가 국가를 대표하여 외교 협약을 맺는다.

국가간의 협약을 번복하면 나라의 신인도가 떨어지므로 협약을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 이는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우리가 국가간 협약을 어긴다면 다른 나라들도 우리나라에 대한 협약을 중시하지 않을 것이므로 심각한 국익훼손을 초래하게 된다. 위안부 합의에 대한 국내적 반발이 크지만 정부는 책임감 있는 자세로 국민들을 설득해야 할 것이다. 비정부기구의 활동이 국내 정책에 영향을 끼칠 수는 있지만 국가 간 협약을 번복하는데 까지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

2. 비정부기구는 국가 간의 협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가의 행위는 국민의 동의가 있어야 합리화된다. 국가의 구성요소가 영토ㆍ국민ㆍ주권이기 때문이다. 비록 다른 나라와의 조약일지라도 국민이 반대하는 (부정당한) 합의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국제사회에서 협약을 재협상하는 것은 흔치않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국민 대다수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부정적이고 무엇보다 피해당사자가 반대하고 있으므로 이를 대변하는 비정부기구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부적절한 협약의 대상

인 일본을 설득해야 한다.



02.2094.1885

평일 09:00 ~ 22:00
주말(토,일) 10:00~18:00